1. 조사 목적
- 우리나라 농림어가의 규모, 분포, 구조 및 경영형태를 파악
- 소지역(행정리) 단위의 경제활동 및 생활 기반시설에 대한 통계 생산
- 농림어업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및 각종 표본조사의 표본틀로 활용
- FAO 등 국제기구에 제공하여 국가 간 비교 및 평가자료로 활용
2. 조사 기간
- 방문 면접조사: 2025년 12월 1일(월) ~ 12월 22일(월) ※ 준비조사 포함
- 인터넷 조사: 2025년 11월 20일(목) ~ 12월 10일(수)
3. 조사 대상
조사 기준 시점은 2025년 12월 1일 0시 현재이며, 전국의 모든 농가·임가·어가와 시군 조례에 의해 설치된 행정리가 포함됩니다.
① 농가
- 논이나 밭을 1,000㎡(10a) 이상 직접 경작하는 가구
- 직접 생산한 농축산물의 판매금액이 120만 원 이상인 가구
- 사육 중인 가축의 평가액이 120만 원 이상인 가구
② 임가
- 산림 30,000㎡(3ha) 이상 보유하며 최근 5년간 육림(심기·가꾸기·간벌 등) 실적이 있는 가구
- 벌목업, 양묘업을 경영한 가구
- 직접 생산한 임산물의 판매금액이 120만 원 이상인 가구
③ 해수면 어가
- 판매를 목적으로 1개월 이상 어로어업(어선·나잠 등) 또는 양식업을 경영한 가구
- 직접 어획 또는 양식한 수산물의 판매금액이 120만 원 이상인 가구
- 양식 수산물 평가액이 120만 원 이상인 가구
※ 해수면 어업은 근해·연안 바다에서 어로 및 양식업을 경영하는 가구를 포함합니다.
④ 내수면 어가
- 강, 저수지, 호수 등에서 1개월 이상 어로 또는 양식업을 경영한 가구
- 직접 어획 또는 양식한 수산물의 판매금액이 120만 원 이상인 가구
- 양식 수산물 평가액이 120만 원 이상인 가구
※ 내수면 어업은 강·호수 등 내륙수역에서 경영하는 어로 및 양식업을 의미합니다.
⑤ 행정리
- 시·군 조례에 따라 설치된 전국의 모든 행정리
- 「지방자치법」 제4조의2 제4항에 따라 주민 거주 읍·면 지역을 행정 편의를 위해 구분한 단위
- 행정리 조사는 해당 이장이 대표로 작성
4. 조사 방법
- 방문 면접조사: 조사원이 농가·임가·어가를 방문하여 태블릿PC로 조사항목을 입력
- 인터넷 조사: 응답자가 직접 인터넷 누리집에 접속하여 조사표를 작성
이번 조사는 국가데이터처가 주관하고,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진행됩니다. 농림어가 대상 방문조사는 시·군·구에서 채용한 조사원이 수행하며, 행정리 조사는 읍·면 담당 공무원 관리 하에 이장이 응답합니다.
5. 주요 조사항목
농림어업 공통 항목 (16개)
- 가구원(성명, 성별, 생년월일, 국적, 종사형태 등 10항목)
- 경영주 특성(경력, 학력, 혼인 상태 3항목)
- 공통사항(정보화 기기 보유, 활용, 교통수단 보유 3항목)
농림업 부문 (42개 항목)
- 생산 항목(논·밭 면적, 작물, 축산, 시설재배 등 23항목)
- 경영 항목(판매금액, 고용, 경영형태, 농기계 보유 등 10항목)
임업 부문 (9개 항목)
- 생산 항목(산림 면적, 육림업, 벌목·양묘업, 채취업)
- 경영 항목(판매금액, 판매처, 경영형태, 고용 등)
어업 부문 (14개 항목)
- 생산 항목(어선, 어로어업 여부, 양식업, 품종 등 6항목)
- 경영 항목(판매금액, 판매처, 고용, 조직 참여 등 8항목)
지역조사 (15개 항목)
- 기본사항(읍면소재지, 자연마을, 빈집, 폐교)
- 교통·편의시설(버스정류장, 생활편의시설, 기반시설 등)
- 농림어업 관련 시설(농업·어업시설)
- 경제활동(법인·조직, 도농교류 등)
- 공동체·쓰레기 처리(마을활동, 폐기물관리)
6. 항목별 조사 목적
① 농림어업 공통
성명·성별·생년월일은 가구 구성의 정확성과 인구구조 분석을 위해 수집되며, 농림어업 종사기간과 형태는 종사자 수와 겸업 현황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또한 정보화 기기 보유, 교통수단 보유 항목은 농산어촌의 생활환경 및 접근성 분석에 사용됩니다.
② 농림업 항목
경지 면적, 작물, 가축, 축사 형태, 유기비료 사용, 스마트농업 도입 등은 농업 생산 기반 및 환경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항목입니다. 농기계 보유 현황과 판매 금액, 농업 외 수입 등은 농가의 경영특성 및 경제활동 구조 분석에 활용됩니다.
③ 임업 항목
산림 면적, 육림·벌목·채취업 실적 등을 통해 임업 경영의 현황과 규모를 분석하고, 산림 자원 관리 및 임산물 생산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④ 어업 항목
어선 현황, 어로 어업 종류, 어획 품종, 양식 품종 등은 어업 생산 기반 파악을 위해, 판매금액·고용·조직 참여 항목은 어가의 경영형태 및 인력 수급 분석을 위해 수집됩니다.
7. 조사 추진 체계
- 주관: 국가데이터처
- 협력: 전국 지방자치단체
- 조사 수행: 시·군·구 조사요원 및 읍·면 담당 공무원
8. 요약 및 문의
「2025 농림어업총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는 국가 단위 통계조사로, 농림어가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농산어촌 정책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조사입니다. 인터넷조사와 방문조사를 병행하며, 모든 응답 자료는 「통계법」에 따라 철저히 보호됩니다.
- 공식 누리집: https://www.affcensus.go.kr
- 주관기관: 국가데이터처
- 문의처: 각 시·군·구청 통계 담당부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