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이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를 앞두고 실시한 짝퉁 물품 안전성 검사에서 ‘라부부 키링’을 포함한 다수의 위조 장신구에서 납·카드뮴·가소제 등 인체 유해물질이 안전 기준치를 최대 5,527배 초과해 검출됐습니다. 이번 단속은 SNS·라이브커머스 등 비공식 판매경로까지 확대되어 진행되었으며, 관세청은 국민들에게 “짝퉁 제품은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위험물품”이라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가짜 라부부 발암물질 검출(출처: 관세청)


1. 짝퉁 제품 집중 단속 결과

관세청은 2025년 상반기 동안 국내로 수입된 지식재산권 침해물품(일명 짝퉁) 총 60만 6,443점을 적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피부에 직접 닿는 장신구 등 250개 제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112점(44.8%)에서 납, 카드뮴, 가소제 등 발암물질이 안전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중국의 광군제(11.11)와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11.28) 등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 기간을 앞두고 짝퉁 제품 수입 급증에 대비해 실시된 것입니다. 특히 인스타그램·유튜브 등 라이브커머스(SNS 실시간 판매) 채널에서 구매한 제품까지 검사 대상으로 포함했습니다.


출처:관세청


2. 짝퉁 장신구에서 발암물질 다량 검출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가 분석한 결과, 일부 짝퉁 금속 장신구(귀걸이·목걸이·헤어핀 등)에서 납과 카드뮴이 법적 허용 기준의 최대 5,527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검출되었습니다.

구분 수입물품 인스타 라이브 유튜브 라이브
분석 대상 203점 32점 10점
적발(율) 86점 (42%) 19점 (59%) 5점 (50%)
납 검출범위(%) 0.01 ~ 49.74 0.01 ~ 41.64 1.2 ~ 7.0
카드뮴 검출범위(%) 0.2 ~ 65.34 0.14 ~ 0.64 12.0

납은 기준치(0.009%)의 최대 4,627배, 카드뮴은 기준치(0.1%)의 120배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단순 표면 도금이 아닌, 제조 과정에서 주성분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3. 라부부 키링, 가소제 기준치 344배 검출

관세청은 최근 인기 있는 ‘라부부(La Bubu) 키링’ 5점을 구매·분석한 결과, 2점에서 국내 기준치의 344배에 달하는 가소제(DEHP)가 검출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서 규정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7종 총합 0.1% 이하 기준을 크게 초과하는 수치입니다. 가소제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화학물질로, 과다 노출 시 생식능력 저하 및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인체 유해성 경고

국제암연구소(IARC)는 납, 카드뮴, 가소제를 인체 발암가능물질(Group 2A)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납과 카드뮴은 신장·소화·생식계 질환을, 가소제(DEHP)는 내분비계 교란과 생식능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부에 닿거나 장시간 착용할 경우 체내 축적 위험이 있으며, 특히 귀걸이·목걸이·키링 등 피부 밀착 제품은 청소년·여성층의 노출 위험이 높습니다.


5. 관세청의 입장 및 대응

이명구 관세청장은 “짝퉁 제품 소비는 단순히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가 아니라 국민 건강을 직접 위협하는 중대한 사회문제”라며, 국민에게 짝퉁 제품 구매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관세청은 앞으로도 국민 안전을 위해 수입 짝퉁 물품의 안전성 검사를 확대하고, 관련 부처와 협업하여 위해물품의 국내 반입을 철저히 차단할 계획입니다.


6. 안전 기준 초과 주요 적발 사례

브랜드 침해 검출물질 검출수치
CHANEL 납 2.36%, 카드뮴 0.64% 기준 초과
GUCCI 납 22.59%, 카드뮴 21.02% 기준 200배 이상 초과
VIVIENNE WESTWOOD 납 49.74%, 카드뮴 65.34% 기준 5,000배 이상 초과
라부부 키링 가소제(DEHP) 34.48% 기준치 344배 초과

7. 소비자 주의사항

  •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저렴하거나 브랜드 정품 인증이 없는 SNS 판매 제품은 주의
  •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반드시 KC 인증 여부 확인
  • 의심되는 짝퉁 제품은 관세청 ‘UNIPASS 불법물품 신고센터’로 신고 가능

8. 맺음말

짝퉁 제품은 단순히 ‘가짜 명품’이 아니라, 발암물질로 뒤덮인 유해제품일 수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라이브커머스에서 무분별하게 판매되는 장신구·키링류 제품은 안전 인증을 확인하지 않은 채 구매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보호책입니다.

관세청은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짝퉁 제품 단속을 지속 강화하겠다”며 소비자들의 자발적인 주의와 신고 협조를 요청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