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대한민국이 외환 부족 위기에 처하자, 국민들이 집에 있던 금을 자발적으로 내놓은 금모으기 운동.
발단부터 경과, 결과, 평가까지 한눈에 정리합니다.
금모으기 운동이란?
금모으기 운동은 1997년 말 한국이 IMF 구제금융을 요청한 뒤, 외채 상환과 외환 보유고 회복을 위해 전국민적으로 금을 기탁하고 금 제품을 수출해 달러를 마련하자는 캠페인이었습니다.
발단 및 배경
- 1997년 태국 바트화 폭락을 시작으로 동아시아 금융위기가 확산했고, 한국도 원화가치 하락과 외환고갈 위기를 맞았습니다.
- 정부는 외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민적 자발운동으로 ‘금모으기’를 제안했고, 1997년 11월 20일 새마을부녀회 중앙연합회에서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을 시작한 것이 시초로 기록됩니다.
- 1998년 1월 5일에는 KBS의 특별 방송 ‘나라를 살립시다, 금을 모읍시다’가 시작되며 본격화되었습니다.
- 정부는 외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민적 자발운동으로 ‘금모으기’를 제안했고, 1997년 11월 20일 새마을부녀회 중앙연합회에서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을 시작한 것이 시초로 기록됩니다.
- 1998년 1월 5일에는 KBS의 특별 방송 ‘나라를 살립시다, 금을 모읍시다’가 시작되며 본격화되었습니다.
운동의 전개 및 결과
- 국민 3백만 명 이상이 참여했으며, 금 약 227톤이 기탁된 것으로 집계됩니다. 이는 당시 시세로 약 18억 달러에 달합니다.
- 참여 방식은 순금 반지·목걸이 등 귀금속을 반납하거나 은행을 통한 금제품 헌납 형식으로 진행됐습니다.
- 공식적으로 1998년 3월 14일 종료되었으며, 이후 농협중앙회 등 금융기관이 마무리 정산을 맡았습니다.
- 참여 방식은 순금 반지·목걸이 등 귀금속을 반납하거나 은행을 통한 금제품 헌납 형식으로 진행됐습니다.
- 공식적으로 1998년 3월 14일 종료되었으며, 이후 농협중앙회 등 금융기관이 마무리 정산을 맡았습니다.
다시 보는 ‘금모으기 운동’
2020년대 들어 경제 불안과 인플레이션, 금값 상승 이슈가 이어지면서 ‘금모으기 운동’이 다시 언급되고 있습니다. 태풍상사 드라마 속 소재처럼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국민이 힘을 모으면 어떤 변화도 가능하다는 교훈을 남긴 현실 이야기입니다.
운동의 의미와 평가
금모으기 운동은 단순한 기부를 넘어, 국가 위기 속에서 국민의 단결과 희생정신이 나타난 상징적 사건입니다. 많은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가 위기를 극복한 순간’으로 손꼽히기도 했습니다. 다만 일부에서는 “기업·정부 책임이 아닌 국민에게 책임을 전가했다”거나 “금 매각가격이 낮았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현대적 의미와 교훈
- 위기 상황에서 국민 전체의 자발적 참여가 어떤 변화를 이끌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경제 위기의 원인을 구성원 모두의 책임으로 돌리기보다는, 구조적·제도적 문제를 함께 살펴야 한다는 논의를 환기시켰습니다.
- 금모으기 운동은 ‘신(新)국채보상운동’이라 불릴 만큼 국민 결집의 상징으로 평가됩니다.
- 경제 위기의 원인을 구성원 모두의 책임으로 돌리기보다는, 구조적·제도적 문제를 함께 살펴야 한다는 논의를 환기시켰습니다.
- 금모으기 운동은 ‘신(新)국채보상운동’이라 불릴 만큼 국민 결집의 상징으로 평가됩니다.
요약 한 줄
“1997년 IMF 위기 속에서 국민이 집에 있던 금을 모아 나라 빚을 갚으려 한 운동, 그것이 바로 금모으기 운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