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5년 11월 3일(월) 제5차 주택재개발 후보지 선정위원회를 통해 금천구 시흥4동, 종로구 행촌동, 마포구 합정동, 용산구 이태원동·용산동2가, 은평구 녹번동, 구로구 구로동 등 총 7곳을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로 추가 선정했습니다. 이들 지역은 노후 주거지, 반지하 주택 다수, 기반시설 취약지 등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한 곳으로 평가됐으며, 정비계획 수립비용 즉시 지원 → 2년 이내 정비구역 지정 완료 등을 목표로 행정지원이 강화됩니다.




 


서울시는 급격한 도시변화와 함께 ‘노후불량 주거지’ 및 ‘반지하 주택 다수 지역’ 등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주택재개발 사업을 보다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신속통합기획’ 제도를 운영해왔습니다. 이번에 7곳이 추가로 후보지로 선정된 것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공급 속도 제고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선정지역은 노후도·반지하 주택 존재 비율·기반시설 열악성·주민참여 의지·연접 개발성과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되었습니다.


1. 선정된 후보지 개요

이번에 추가 선정된 7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천구 시흥4동 1번지 일대 (용도지역: 제1종) 24,901.5㎡, 권리산정기준일 ’25.8.22. 
  • 종로구 행촌동 210-2 일대 (제1종·제2종) 76,310.0㎡, 권리산정기준일 ’25.9.26. 
  • 마포구 합정동 444-12 일대 (제2종(7)) 40,735.5㎡, 권리산정기준일 ’25.9.25. 
  • 용산구 이태원동 214-37 일대 (제1종·제2종(7)) 66,986.2㎡, 권리산정기준일 ’25.9.25. 
  • 용산구 용산동2가 1-597 일대 (제1종) 53,734.6㎡, 권리산정기준일 ’25.9.25. 
  • 은평구 녹번동 35-78 일대 (제2종(7), 제3종) 20,320.5㎡, 권리산정기준일 ’25.9.25. 
  • 구로구 구로동 739-7 일대 (제1종·제2종) 92,521.1㎡, 권리산정기준일 ’25.9.25. 











2. 선정 배경 및 특징

서울시가 밝힌 선정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후도가 높고 반지하 주택이 다수 포함돼 주거환경 개선의 시급성이 높음.
  • 주민참여 의지가 강한 지역 (‘용산동2가 1-597’ 및 ‘녹번동 35-78’은 70% 이상 주민 사업추진 동의)임.
  • 연접 개발사업과의 기반시설 연계 가능성이 높은 지역 (예: 시흥4동 1번지 일대는 기존 선정된 재개발사업과 연접)
  • 정비계획 수립비용을 즉시 지원하고, 정비구역 지정까지의 기간을 2년 이내로 단축하는 목표 제시.
  • 투기 차단을 위해 선정과 동시에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리산정기준일 고시, 건축허가 제한 등이 병행됨.

3. 정책 추진 및 기대 효과

이번 선정된 후보지를 바탕으로 서울시는 다음과 같은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정비계획 수립비용을 즉시 보조하여 사업 착수 속도를 높이고, 기존 평균 5년 이상 걸리던 정비구역 지정 기간을 2년 이내로 단축하는 전략을 채택함.
  •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따라 신설된 사업성 보정계수·현황용적률·입체공원 등의 제도를 지역 여건에 맞게 적용하여 사업성을 확보함.
  • 투기방지 대책으로 후보지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지분쪼개기 등 불공정 거래를 사전에 차단함. 지정기간은 ’25.11.11.부터 ~ ’27.1.28.까지로 설정됨.
  • 기반시설이 낙후된 노후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공급을 빠르게 확대하고, 쾌적한 주거공간으로 전환함으로써 도시 재생 및 주거복지 측면의 통합적 성과를 기대함.

결론

이번 7곳의 추가 선정은 서울시가 ‘신속통합기획’ 제도를 통해 주택재개발의 속도와 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노후 저층주거지, 반지하 주택 밀집지역 등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한 구역을 중심으로 주민참여 의지와 기반시설 연계 가능성까지 고려한 점이 주목됩니다. 이러한 후보지에 대한 조속한 정비계획 수립 및 구역 지정은 향후 주택공급 확대, 주거환경 개선, 도시재생이라는 서울시의 핵심 과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주민 설명회, 정비계획 용역 착수, 구역지정 절차 진행 등이 이어질 예정이며, 사업추진 과정에서 환경·교통·상권 변화, 그리고 주민의 생활상 개선이라는 두 축이 어떻게 실현될지 주목됩니다. 또한 투기 차단 및 사업투명성 확보라는 측면에서도 이번 선정은 의미 있는 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후보지에 관심 있는 주민·사업시행자·관심자는 서울시 및 해당 자치구 공고문, 정비계획 용역 공고 등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